[부처명] 요소기업 업무협약, 수입국가와 단체 구매 등 추진
안녕하세요. 승미새작입니다.
산자부에서 요소 수입다변화를 위해 다양한 국가와 요소 도입 협상 등을 하고 있다는 내용 알아볼게요.

■ 40여개 요소기업, '요소얼라이언스' 출범
국내 요소 관련 40여개 업체가 참여하는 '한국요소얼라이언스(가칭)'가 요소 수입 다변화 확대에 나섰다. 종합상사 및 주요 요소수 수요기업과 손잡고 인도네시아·베트남·중국 등 주요 요소 수입국가와 요소 단체구매를 시작으로 다양한 국가와 요소 도입 협상을 벌여 나가기로 했다.
산자부는 21일 한국요소얼라이언스가 The-K 서울호텔에서 법인화를 위한 총회를 열고 주요 종합상사·요소수 수요기업과 수입선 다변화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내 요소 수입이 특정 국가에 편중돼 있어 지난달 산자부와 국내 요소 관련 업체들은 '요소 다변화 추진협의체'를 구성하고, 인도네시아산 차량용 요소(16개사 최대 1만톤, 지난 7일)등 수입다변화를 추진해왔다.
요소 다변화 추진협의체는 수입다변화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한국요소얼라이언스 총회를 열고, 삼성물산·LX인터내셔널 등 종합상사 및 주요 요소수 수요기업과 요소 단체구매 및 수요 확대와 정보공유에 적극 협력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식은 한국요소얼라이언스·종합상사·요소수 수요기업간 국내 요소산업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균형 있는 수입선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갖고 진행됐다.
한국요소얼라이언스는 경제적·기술적 검토를 거쳐 선정된 인도네시아, 베트남(6개사, 산업용 5000톤), 중국(9개 사, 차량용 5000톤)산 요소 단체구매를 시작으로 다양한 국가와 요소 도입 현상을 벌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삼성물산과 코트라는 요소 관련 국제동향, 공급처 등 다변화에 필요한 사항을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LX인터내셔설과 롯데정밀화학, 남해화학은 한국요소얼라이언스의 대규모 연합수요를 바탕으로 해외 공급업체와 단체구매계약을 체결하는 한편, 향후 긴급 요소 수급위기 발생시 가용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신속히 대응하기로 했다.
포스코, 현대오일뱅크, 쌍용C&E 등 요소수 수요가 큰 국내 주요 대표기업들은 요소 수입다변화 동참을 선언하고, 수입다변화 요소로 생산한 요소수 구매에 적극 노력해 수입다변화가 안정적으로 추진되도록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정책브리핑>
'정부부처별 정책 > 산업통상자원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자부] 친환경자동차·자율주행차 분야 과제 1189억원 지원 (0) | 2022.02.03 |
---|---|
[산자부] 이웃보다 전기 덜 쓰면 현금 돌려받는 ‘에너지캐쉬백’ 시범 시행 (0) | 2022.01.29 |
[산자부] 전기차 보조금 지원대상 2배 확대…대당 보조금 지급액은 낮춰 (0) | 2022.01.26 |
[산자부] 28일부터 100세대 이상 아파트 전기차충전기 설치 의무화 (0) | 2022.01.25 |
[산자부] 산업분야 탄소중립 확산을 위한 지원정책! (0) | 2021.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