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승미새작입니다.
새만금 지역에 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한 태양광 발전시설이 처음 준공된다고 합니다. 알아볼게요.

■ 국내 최대 규모 추진 3GW급 새만금 재생에너지 사업 가속도 전망
새만금 지역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한 태양광 발전시설이 처음 준공된다.
국토부와 새만금개발청은 22일 새만금에서 최초로 상업운전을 시작하는 육상태양광 발전시설의 준공식을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준공식에는 노형욱 국토부 장관,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 소순열 새만금위원회 민간위원장, 송하진 전북도지사를 비롯해 산업부, 군산시, 사업시행자 등이 참석한다.
이번 새만금 육상태양광 발전사업 준공은 지난 2018년 10월 문재인 대통령이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식'에서 새만금을 대한민국 재생에너지의 중심지로 개발하겠다'고 선포한 이후 가시화된 첫번째 성과라고 국토부는 의미를 설명했다.
이번에 준공하는 1구역에 이어 내년 2·3구역까지 상업운전을 시작하면 육상태양광 발전을 통해 300MW 규모에 달하는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는 연간 약 8만여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다.
육상태양광 발전시설은 새만금 산업연구용지 3.53㎢에 총사업비 약 4300억원을 투입해 조성했다.
국토부는 이번 육상태양광 발전시설 준공을 시작으로 수상태양광, 해상풍력 등을 포함해 국내 최대 규모로 추진되는 3GW급 새만금 재생에너지 사업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새만금 육상태양광 발전사업은 지역 주민의 참여로 운영되는 '지역상생' 모델로 추진됐다.
새만금개발청은 태양광 발전수익을 지역·주민과 공유하기 위해 2019년 2월 민관협의회를 발족하고 주민참여채권을 발행하는 등 지역상생 방안을 마련했다.
사업지역 기준 1㎞이내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연 수익률 7%, 만기 20년의 주민참여채권 모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주민참여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하고 있다.
또 이번에 준공한 발전시설의 사업자인 (주)새만금희망태양광에는 지역 기업 6곳이 참여했다.
그 중 2곳이 전체 시공의 40%를 진행했으며 지역 기업이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 등의 주요 기자재를 50% 이상 사용했다.
이를 통해 지역 기업이 새만금을 토대로 재생에너지 관련 밸류체인(가치사슬)을 구축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에 조성되는 대규모 재생에너지 단지를 활용해 국내 최초로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이 실현되는 스마트 그린산단을 만들어 저탄소·에너지자립의 기반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정책브리핑>
'정부부처별 정책 > 국토교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부] 2050년까지, 수소열차 개발 등 탄소중립 로드맵 마련 (0) | 2022.01.01 |
---|---|
[국토부] 29일부터 올해 마지막 공공 민간 사전청약 시작 (0) | 2021.12.31 |
[국토부] 청년 공공주택 품은 철도역사 짓는다 (2) | 2021.12.11 |
[국토부] 반환된 용산 미군기지 내 스포츠 필드, 소프트볼장 임시 조성! (0) | 2021.12.10 |
[국토부] 고속도로 전기차, 수소차 충전시설 확충! (0) | 2021.12.09 |